안녕하세요.
캐나다 타일노예입니다.
주린이 주식 공부 카테고리에서는 주린이,주식 초보들을 위한 기본적인 주식용어,주식 관련 공부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방송이나 유투브, 주식입문할 때 수없이 들어보고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P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투자할 때 아주 기본이 되는 지표이고 기업 재무제표 볼 때 간단한 기본 설명에 항상 붙어있는 PER이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PER는 Price-Earning Ration를 줄인 말이고 주가수익비율을 뜻합니다.
기업의 현재 주가와 그 한 주당 벌어들이는 수익의 비율을 수치화 한 지표이고
직접 계산할 필요없고 네이버,야후 파이낸스, 각종 주식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아주 기본적으로 적혀있고 제공되는 수치입니다.
'퍼'라고 읽고 PER,P/E,PE Ratio 라고 표기하는데 모두 같은 말입니다.
PER은 현재 기업의 주가÷EPS(주당순이익)을 구한 값이고 EPS(주당 순이익,즉 기업의 실적)입니다.
EPS는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EPS(주당순이익,해당 기업의 실적)이 높아지면 PER가 낮아지고 그만큼 주가가 저평가 되있다는 뜻이고
반대로 EPS(주당순이익,해당 기업의 실적)이 그대로인데 PER가 높아지면 그만큼 그 해당 주식이 고평가 되있다는 뜻입니다.
현재 주가가 이익에 비해서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수치화한 아주 단순한 지표입니다.
PER은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쉽게 평가 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PER이 높으면 고평가 PER이 낮으면 저평가로 해석하는데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해당 기업이 속해있는 동종 산업이나 섹터와 비교해 봐야하며 동종기업의 PER와 비교해봐야합니다.
해당 산업 특성에 따라서 PER가 높은 산업 반대로 PER가 낮은 산업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바이오나 IT 기업같은 미래 가치가 주가에 반영되있는 경우에는 그 산업 PER 평균 자체가 높게 형성되있습니다.
야후 파이낸스같은 주식정보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에서 기본적으로 써있습니다.
간단하게 구글 주식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빨간색 네모 안에 PER,EPS가 써있는데 현재 주가 2768.29$인데 이걸 EPS 112.20으로 나누면 PER 24.69가 나옵니다.
2768.29(현재 주가)÷ 112.20(EPS) = PER 24.69
S&P 500에 포함된 기업 평균 PER 그래프입니다.
S&P 500 PER 평균은 25.66으로 구글 PER 24.69로 비슷한 수준이기때문에 괜찮습니다.
PER는 현재 주가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소수점이나 작은 단위에 변화는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구글의 PER 그래프입니다.
2017~2018년 사이에 PER가 58정도 될 정도로 고PER를 유지했었는데 당시 기준으로 고평가였다는 반증이고
그만큼 투자가 몰렸다는 뜻입니다.
2019년부터는 PER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테슬라(TSLA)입니다. PER 187.92 굉장히 높죠?
S&P 500 평균 PER 25에 비해서 7.5배나 높습니다.
테슬라(TSLA) PER 그래프입니다. 주식투자하는 분들은 다 기억하시겠지만 거의 광기라고 말할만큼 테슬라에 투자가 몰려서 PER이 1000이 넘은 적도 있었지만 PER이 많이 떨어져서 현재 테슬라(TSLA) PER은 187.92입니다.
극단적으로 PER가 차이나는 구글과 테슬라를 비교했는데
그 이유는 PER가 낮으면 무조건 좋은 주식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1. PER는 과거 기록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PER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Earning은 과거 1년 즉 최근 4개의 분기까지 실적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투자하려거나 투자한 기업이 낮은 PER로 저평가되있다고 받아드릴 순 있지만 미래에는 그렇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해당 기업이 실적이 안 좋아지거나 적자로 전환되면 PER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2. PER는 기본적인 지표일 뿐 맹신해서는 안 됩니다.
기본적으로 PER가 낮으면 저평가 PER가 높으면 고평가인 건 맞는 소리이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IT나 바이오같은 산업군은 그 섹터 자체가 평균적으로 PER가 높기때문에 같은 섹터 안에서 동종기업과 PER를 비교해야지 전혀 관계없는 철강이나 금융업의 PER와 비교를 하면 안 됩니다.
3. PER는 현재 주가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PER 계산하는 법을 위에 설명했는데 EPS는 지난 4분기 실적 평균을 기반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EPS는 과거 기반 지표입니다. 하지만 PER는 당장 초마다 움직이는 주가에 따라서 움직이기 때문에 너무 맹신해서는 안 됩니다.
주가는 기본적으로 미래가치에 대한 선반영이기 때문에 PER를 너무 맹목적으로 낮은 PER 저평가 높은 PER 고평가로 생각하시면 안 되고 아주 기초적인 숫자이니 너무 말도 안 되게 높은 PER가 형성된 기업만 거르는 용도로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린이 주식공부 기본적으로 알아야 될 PER에 대해서 끄적여봤고 아주 기초적인 내용이니 PER를 너무 맹신하지마시고
이 정도는 투자할 때 확인해줘야된다는 정도로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 주린이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 주식 공부 #ROE (0) | 2022.02.15 |
---|---|
주린이 주식 공부 #PBR (1) | 2022.02.13 |
주린이 주식 공부 #EPS (0) | 2022.02.10 |
주린이 주식 공부 #액면분할 (2) | 202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