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린이 주식 공부

주린이 주식 공부 #PBR

캐나다타일노예 2022. 2. 13. 06:36

안녕하세요.

 

캐나다 타일노예입니다.

 

주린이 주식 공부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할 때 아주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PB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린이 주식공부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용어를 계속 포스팅하고 있으니 차례대로 읽어보시면 됩니다.

 

주린이 주식 공부 #액면분할

주린이 주식 공부 #PER

주린이 주식 공부 #EPS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이라는 뜻이고 Price Book value Ratio의 약자입니다.

해당 기업이 보유한 자산, 즉 자기 자본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대비해서 현재의 주가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기업의 현재 시가총액을 해당기업의 순자산(부채를 뺀)으로 나누면 됩니다.

현재 기업의 주가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자산에 비해서 높게 거래되고 있는지 반대로 반대거래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통상적으로 PBR이 낮으면 해당기업이 저평가,PBR이 높으면 고평가되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PBR이 낮으면 좋습니다. PER과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PER도 낮으면 좋습니다.

PBR은 1주당 가치로 생각하면 되고 1보다 높으면 고평가 1보다 낮으면 저평가라고 간단하게 이해하면 됩니다.

 

PBR은 해당기업이 어느 산업에 속해있는지에 따라서 해당 산업섹터 PBR이 높은 산업이 있고 PBR이 낮은 산업이 있기때문에 무조건 PBR 1보다 크냐 1보다 작냐만 따질 게 아니라 동종업계,같은 산업군에 속한 기업과 PBR을 비교해봐야합니다. 

 

왜냐하면 1이 절대적 기준은 아니고 엔터테인먼트 산업,바이오헬스 산업쪽은 PBR이 3~6 또는 그 이상인 경우가 많고, 보험과 은행같은 금융주 산업은 1보다 미만 PBR 0.5인 것도 흔히 볼 수 있기때문에 산업 전체를 PBR 1 기준으로 일률 적용하기보다는 해당 산업 평균을 비교해서 이용하는 지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해당 기업이 사업을 접고 투자한 주주들에게 PBR 1이면 투자금 그대로 회수 할 수 있을 것이고

PBR이 1보다 작으면 순자산보다 낮게 평가되어있어 투자자들이 투자한 금액보다 많이 돌려 받을 수 있고

PBR이 1보다 크면 순자산보다 높게 평가되어있어 투자자들이 투자한 금액보다 적게 돌려받을 수 있는 지표지만

 

PER가 평균적으로 다른 산업보다 높은 기술주,바이오 같은 산업의 경우 PBR도 그 산업전체 PBR 평균이 높게 형성되어있으니 1 기준이 절대 기준이다 생각하지마시고 산업전체와 또는 동종업계 경쟁회사와 비교해보시면 됩니다.

 

PBR에 대해서 정리하면

1.PBR은 순자산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2.PBR 1보다 크면 고평가, PBR 1보다 작으면 저평가 

3.일반적으로 PBR 1 기준으로 고평가,저평가를 나눌 뿐이지 절대적 기준은 아님.

4.PBR이 평균적으로 높은 산업섹터가 있고 낮은 섹터가 있음.

5.해당산업,동종업계,경쟁회사와 PBR을 비교해보는 게 좋음.

6.PBR은 일단 낮으면 좋음(PER도 마찬가지) 하지만 산업 섹터 평균 꼭 확인.

'투자 > 주린이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 주식 공부 #ROE  (0) 2022.02.15
주린이 주식 공부 #EPS  (0) 2022.02.10
주린이 주식 공부 #PER  (0) 2022.02.09
주린이 주식 공부 #액면분할  (2) 2022.02.02